김누리 3

인문 : 김누리 교수, 서울대 권력 파시즘 이해 3

여러분 잘 생각해 보세요. '경쟁' '우열' '지배' 한국 교실에서 12년 동안 교육받으면 뭐가 될 거 같아요.민주주의자 세상을 어떻게 보겠어요. 이 세계는 자유롭고 평등한 개인들이 함께 하는 곳이죠.거기서는 우열이 지배하는 게 아니라 '다양성'이 지배하는 곳이죠.그리고 말하자면 지배와 복종의 관계인 것이 아니고, 민주주의자가 보는 세계 안에서는 자유롭고 평등한 개인들이 서로 평등한 관계 속에서, 서로 교류하고 서로 존중하는 이게 민주주의자가 보는 세계잖아요.과연 한국 교실에서 12년 교육받으면, 성숙한 민주주의자가 될까요. 위험한 파시스트가 될까요.사람을 완전히 성적이라는 우열의 기준을 가지고 보고요.저희 때는 저희 때는 한 600명 정도였는데 한 학년이. 그 당시에 시험을 뭐 중간고사 기말고사 볼 때..

로직스 (Human) 2025.05.09

인문 : 김누리 교수, 서울대 권력 파시즘 이해 2

그러니까 이제 제가 좀 설명을 드릴게요. 끔찍한 이야기예요.자 그래서 히틀러 파시즘을 근본적으로 청산하기 위해선 교육을 통해서 성숙한 민주주의자를 길러야 한다 그러면 이렇게 되겠죠.당시에 독일에서 나온 교육 개혁의 모토가 이거예요.경쟁교육은 야만이다 경쟁 교육은 야만이다 이걸 들고 나왔어요.그래서 실제로 독일에서는 70년에 이 교육 개혁이 이루어지는데, 이때부터 실제로 학교에서 일체의 경쟁을 금했어요. 등수도 없고 석차도 없어요.일체 우열을 나누는 행위를 금했습니다. 학교 간의 경쟁도 없어요. 대학 입학시험도 없어요. 고등학교 졸업시험만 봐요.이걸 아비투어라고 하는데 90%가 붙어요. 그냥 다 대학에 가고자 하는 아이들은 문을 열어 준 거죠.이것에 붙으면 원하는 대학, 원하는 학과를, 원하는 때에 갈 수..

로직스 (Human) 2025.05.08

인문 : 김누리 교수, 서울대 권력 파시즘 이해 1

우리가 파시즘 이런 말 자체가 사실은 금방 이해하기가 좀 어렵죠.우리가 파시즘이 많이 이야기하지만 제가 그걸 간략하게만 정의를 해 볼게요.대부분 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쓰는 용법에 있는 거죠. 일반적으로 테러와 공포를 통해서.반민주적인 독재적인 지배 형태. 보통 그렇게 알고 있죠. 파시즘 하면 맞아요.그러니까 그게 가장 일반적인 파시즘에 대한 그러한 정의일 터인데.사실은 가장 중요한 것은 이 파시즘은 이론적으로 들어가면 굉장히 복잡해요.다양한 주장이 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이거예요.[ 이데올로기 국가기구를 통해서 그 사회의 전 구성원을 전체주의적으로 파시스트 만든다는데 있어요. ]이게 가장 중요한 거예요. 그래서 자꾸 파시즘이란 말을 쓰는 거예요.그냥 단순한 독재만 독재라고 해도 되잖아요. 예 그런데 파..

로직스 (Human) 202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