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성 2

인문 : 인간의 본성, ‘성악설’에 대한 이해

성악설은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선하지 않다는 관점을 전제로 하며, 반대 개념으로는 성선설이 있다.인간의 본성은 이기적이며 욕망에 충실하고, 법과 규범이 존재하지 않으면 타인을 해칠 수 있는 위험한 존재라는 것이다.이 개념은 고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철학과 정치사상을 관통하는 중요한 논쟁의 주제였으며, 성선설과 대조적으로 늘 함께 논의되어 왔다.대표적인 성악설 사상가로는 중국 전국시대의 순자와 17세기 영국의 토마스 홉스가 있다.순자는 “인간의 본성은 악하다. 선한 것은 인위적인 교육과 제도 덕분이다”라고 단언하며, 인간은 욕망, 시기, 탐욕으로 가득 찬 존재라고 보았다.따라서 그는 예와 법과 같은 사회적 규율을 통해 인간의 본성을 교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홉스는 “인간은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 상태에..

로직스 (Human) 2025.07.17

인문 : 마음의 수수께끼 5가지

인간은 이성적인 동물이 아니라는 사실을 받아들이고, 인간의 본성을 파악해야 합니다. 1. 사람들은 밤에 가까워질수록 더 쉽게 거짓말을 한다 : 심신 피로, 심리적 고갈 때문. 2. 첫인상은 생각보다 엄청 중요하다 : 같은 사람도 처음 평가에 따른 후광효과가 발생. 3. 사랑받고 싶다면 상대방을 따라 하라 : 비슷하게 행동하는 미러링을 하면 호감 상승. 4. 상대방이 내 편인지 알고 싶다면 하품을 해보라 : 하품이 옮기는 이유는 공감과 관심 때문. 5. 좋아하는 사람에게 다가가고 싶다면 도움을 요청하라 : 번거로운 부탁을 해서 인지 부조화(혼란)를 만들면, 해소하려는 과정에서 애정으로 착각. 이밖에도 우리가 알지 못하는 사람의 본성에 대해 알아 두는 것은, 사람이 거시 세계와 미시 세계를 탐구하는 과학적 ..

로직스 (Human) 2024.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