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음 4

인문 : 자주 쓰는 한 글자 '주인공' 말 모음

우리 일상에서 자주 쓰는 한 글자 ‘말’들을 자음 순서로 모아 정리했다.처음 쓰였을 때의 이유와 기록은 사라졌지만, 소리와 의미만이 전해져 지금도 우리 곁에서 살아 숨 쉬고 있다.조각조각 나뉜 하나하나의 글자들은 마치 세상의 퍼즐처럼, 작은 것 같지만 거대한 그림을 이루고 있다.이 글자들은 우주와 인류의 역사가 고스란히 담긴 묵직한 주인공이며, 우리는 이 작은 글자들을 통해 우주와 인간, 삶과 죽음, 자연과 감정까지 수많은 것을 엿볼 수 있다.또한 이들은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에 대한 끝없는 상상력의 출발점이면서, 우리 모두를 보이지 않는 곳에서 이어주는 '끈'이다.ㄱ간, 갓, 강, 개, 검, 골, 곰, 공, 굴, 귤, 꿈, 꽃, 꼴, 끈, 끼ㄴ나, 날, 남, 낮, 낫, 너, 넋, 넷, 녹, 논, 농, 놈..

로직스 (Human) 2025.04.25

인문 : 심리학 효과, 증후군 등 모음

걸 맞추기 원리 : 유유상종 끼리끼리 어울림 고립 효과 : 공간에 대한 배려 필요 인식 극화 현상 : 여럿 문제 해결 시 중간 없음 넛지 효과 : 옆구리 찔러 생존율 설명 등 단순 노출 효과 : 노출되면 호감도 상승 떠벌림 효과 : 공개 소문을 내면 연애 성공 동조 효과 : 다수 거짓 정보에 따르는 효과 면역 효과 : 반박 경험을 통해 예방 효과 바넘 효과 : 공통의 점괘를 옳다고 인식함 부분 강화 효과 : 예측되지 않게 보상 효과 상승정지 증후군 : 최고의 자리에서 은퇴 상위 효과 : 설득 위해 교집합을 우선 설명 스톡홀름 신드롬 : 인질 동화 및 동질감 스트루프 효과 : 무의식적 집중력 강화 업 앵커링 효과 : 닻을 내리 것처럼 정체됨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 어머니 성 충동 자기 핸디캡 전략 : 자존..

로직스 (Human) 2024.10.28

인문 : 의성어 & 의태어 모음

깔깔, 끌끌, 땍땍, 악, 앙, 우악, 쩌렁쩌렁, 쯧쯧, 카랑카랑, 콕콕, 쿨럭, 탁탁, 휭 가뿐, 거들먹, 건성건성, 껑충, 꼬장꼬장, 꽁꽁, 꾸벅, 느직느직, 다독, 대강대강, 땡땡이, 대뜸, 덜렁, 도도, 또박, 바락바락, 바르르, 바싹, 발끈, 빽빽, 버럭, 부글부글, 부르르, 붉으락푸르락, 뿡, 쌀쌀, 살짝, 쌔근쌔근, 실떡, 싱숭생숭, 씩씩, 에끼, 윽박, 종종, 쭈뼛, 출싹, 쿵쿵팔짝, 투덜, 팔랑팔랑, 폴짝폴짝, 푼푼, 헐떡헐떡 끌끌, 다그닥, 멍, 삑, 앙, 으라차차, 윽, 찰칵, 콩닥콩닥, 탁, 탕, 툭툭, 픽, 핑, 훌쩍 간질간질, 갈팔질팡, 갸우뚱, 까칠, 겅중겅중, 꼼지락, 괴발개발, 구시렁, 그렁그렁, 근질근질, 나긋나듯, 너털너털, 누누이, 노닥, 때굴때굴, 또랑또랑, 두런두런..

로직스 (Human) 2024.10.20

인문 : 한글에서 사라진 자음과 모음

15세기 훈민정음 창제, 반포 당시 기본자는 28자(자음 17, 모음 11)였다. 1933년에 조선어학회에서 정한 한글맞춤법에서의 기본자는 24자(자음 14, 모음 10)로 줄었다. 자음 ㆁ(옛 이응), ㆆ(여린히읗), ㅿ(반시옷), 모음 •(아래아/하늘아) / 순경음(ㅸ). 이들 사라진 자음 모음은 자음 ㆁ(옛 이응), ㆆ(여린히읗)은 ㅇ, ㅿ(반시옷)은 ㅅ, 모음 •(아래아/하늘아)는 ㅏ가 되었고, 순경음(ㅸ)은 ㅂ이 되었다. 한글이 과학적 원리에 따라 만들어진 것이어서, 이들 사라진 자음과 모음의 가치는 외국어 표기가 필요한 현대에 들어 재조명되고 있다. 특히 v와 f 발음은 영어 발음을 표기할 때 훈민정음의 합용병서인 ㅅㅂ, ㅅㅍ으로 온전히 표기해 낼 수 있다고 하며, 훈민정음 해례본에 쓰여 있는..

로직스 (Human) 2024.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