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리화 2

저항 : 독재 왕정 회귀, 찬양과 합리화의 심리

오늘날, 독재 왕정의 회귀를 위한 계엄령 내란, 민주 공화정의 파괴를 위한 법원 테러를 동조하는 내란 테러 족속들이 있다.이들에게 “김정은, 시진핑, 푸틴은 괜찮냐?”는 질문을 던지면, 그들은 겉으로는 다르다고 답하지만 속으로는 부정하지 못한다.이미 미국의 트럼프가 김정은, 푸틴과의 친분을 과시하며 이들의 불통, 독단, 야망, 반민주적 행동을 부러워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싸구려 트럼프 윤석열도 마찬가지로 정치 검찰, 사법 카르텔, 군사 독재의 망령인 육사, 경찰대 출신들과 함께, 김정은 시진핑 푸틴의 나라를 만들려 했다.이들 독재를 찬양하고 합리화하려는 자들의 심리를 심리학적, 사회학적 관점에서 면밀히 살펴보자.1. 독재 권위주의 성향인간은 순응할 것인가, 저항할 것인가를 선택해야 할 때가 있다...

마인드 (Resist) 2025.04.25

인문 : 관계를 악화시키는 말들

우리가 가볍게 생각하고 내뱉는 말들 속에서, 관계를 악화시키는 하지 말아야 할 말들을 찾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상대를 판단하려는 과정에서 생각의 오류에 빠지게 되며, 무의식 중에 때론 고의로 힘든 표현을 씁니다. 1. 판단 2. 비난 3. 강요 4. 비교 5. 당연시 6. 합리화. 하나하나 과거의 대화를 곱씹으며, 나 또는 상대가 이런 식의 표현을 썼는지 돌이켜 볼 필요가 있습니다. 우선 ‘판단’ 즉 타인에 대해서 해석하려는 경우, 부정적 사고로 인한 오류와 인지 (사실 파악)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음 ‘비난’은 판단에 있어 부정적인 해석에 기초해 상대만 잘못했다는 생각에서 출발합니다. 전체가 아닌 일부인 부정적 기억을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추상화하고, 함부로 상대를 정의하는 것은 위험한 행위입..

로직스 (Human) 2024.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