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129

인문 : 내란의힘, 제22대 국회 출석률 '꼴찌'

혹시나 역시나였다. 제22대 국회 출석률에서 국민의짐 내란의힘이라 불리는 국민의힘의 출석이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제415회 임시회 본회의, 제416회 임시회 본회의, 제416회 임시회 본회의, 제417회 임시회 본회의, 제418회 정기회 본회의, 제419회 임시회 본회의 (회기 진행 중)(~3차 12/13).제22대 국회 5차례의 본회의에서 국민의힘은 매우 저조한 출석률을 보였다.이러한 내용은 국회 101 : 국회의원 활동 사이트 (https://assembly101.kr)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하다.국회 101 사이트에는 본회의 출석 현황을 비롯한 전체 의원별 정당과 지역, 기본 정보를 비롯한 법안 찬반 여부 등이 자세히 올라와 있다.[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출석부 ]국회 101 : 국회의원..

로직스 (Human) 2024.12.19

인문 : 진보-보수 뇌과학적 해석 (Ft. 방시혁) 2

[ 뇌의 본업인 생존 이익에 충실하면 보수 ]그런데 이제 이게 그러니까 국민의힘 쪽 사람들 보수정당 사람들을 보고 있으면, 이 사람들은 물론 옳고 그름을 안 따지는 건 아닌데 생존하려는 그 본업에 너무 충실해.나에게 이익이 되면 그것이 불법적인 요소 혹은 부도덕한 요소가 있다 하더라도, 그 위험감수를 하는 거야.인류학자 헬렌 피셔에 따르면, 진보와 보수는 대뇌의 발달 부위가 다르며 보수는 세로토닌, 진보는 도파민의 수치가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2011년에 실시한 MRI를 이용한 90명의 뇌 구조의 연구 결과를 보면, 진보적 성향이 강할수록 전측대상피질의 회백질의 부피가 큰 반면, 보수적 성향이 강할수록 편도체의 회백질의 부피가 크다. 편도체는 공포와 혐오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공포와 혐오는 경계 대..

로직스 (Human) 2024.12.18

인문 : 진보-보수 뇌과학적 해석 (Ft. 방시혁) 1

[ 유시민 작가 11월 28일 매불쇼 중 출연 내용 ]진보, 보수에 대한 뇌과학적 해석이 좀 필요한 것 같아요, 명태균 사태를 보면서 확실하게는 느껴지는데.생물학자들 말에 따르면 인간의 자아는 뇌에 기거하는데.우리 뇌가 우리 생각하고 판단하고 결정하는 모든 것들이 뇌에서 일어나요.[ 뇌는 적응 생존이 본업 ]그런데 우리 뇌는 왜 만들어졌냐 하면, 생존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거예요.유전자가 생존해 나가기 위해서 환경변화에 잘 대응하고 적절한 반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중추기관으로서 뇌를 진화시켰다는 거예요.그러니까 원래는 뇌를 만든 목적은 생존하라는 거예요. 뇌의 본업이에요.저만 본업 부업이 있는 게 아니고, 우리의 뇌도 일반적으로 본업이 있고, 부업이 있어요.본업은 생존. 생존에 이익이 되는 것은 무엇이든..

로직스 (Human) 2024.12.17

인문 : 스윙바이(Swing-by) 플라이바이(Fly-by)

천문학에 관심을 가진다기보다는 세상이 어떤 식으로 움직이는지에 관한, 인문학에 대한 관심은 늘 유지해야 한다.과학적 관점이나 인문학적 관점을 놓치면, 어떤 현상에 본질을 놓치게 되거나, 결과에 대해서 원인을 놓칠 수 있다.변증법의 3대 법칙인 대립물의 통일과 투쟁의 법칙, 양과 질의 상호전화의 법칙, 부정의 부정의 법칙과 과학적 인식인 개별과 일반, 현상과 본질, 내용과 형식, 원인과 결과, 우연과 필연, 가능성과 현실성은 자꾸 꺼내 쓰지 않으면 잊게 된다.천문학은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범주를 아늑히 넘어서는 거시세계의 영역이지만, 가끔은 바로 우리 옆으로 다가오기도 한다.스윙바이(Swing-by) 플라이바이(Fly-by)는 먼 우주로의 여행에서 천체의 중력을 이용하여 가속하는 것을 의미한다.지금 우리..

로직스 (Human) 2024.12.15

인문 : 기독교 주기도문 - 악에서 구하소서

[ 기독교 주기도문 ]그리스어 원문Πάτερ ἡμῶν ὁ ἐν τοῖς οὐρανοῖς·ἁγιασθήτω τὸ ὄνομά σου·ἐλθέτω ἡ βασιλεία σου·γενηθήτω τὸ θέλημά σου, ὡς ἐν οὐρανῷ καὶ ἐπὶ τῆς γῆς·τὸν ἄρτον ἡμῶν τὸν ἐπιούσιον δὸς ἡμῖν σήμερον·καὶ ἄφες ἡμῖν τὰ ὀφειλήματα ἡμῶν,ὡς καὶ ἡμεῖς ἀφίεμεν τοῖς ὀφειλέταις ἡμῶν·καὶ μὴ εἰσενέγκῃς ἡμᾶς εἰς πειρασμόν,ἀλλὰ ῥῦσαι ἡμᾶς ἀπὸ τοῦ πονηροῦ.(Ὅτι σοῦ ἐστιν ἡ βασιλεία καὶ ἡ δύναμις καὶ ἡ δόξα εἰς τοὺς α..

로직스 (Human) 2024.12.06

인문 : 불교 반야심경 -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 불교 반야심경 ]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있는 그대로의 진리를 가리키는 핵심이 되는 말씀觀自在菩薩 行深般若波羅蜜多時 照見五蘊皆空 度一切苦厄관자재보살 행심반야바라밀다시 조견오온개공 도일체고액: 관자재보살은 세상의 실체를 가리키는 깊은 진리의 표현이기에, 세상 모든 것이 공함을 바로 보면 모든 어려움을 넘어 그 실체 닿느니라.舍利子 色不異空 空不異色 色卽是空 空卽是色 受想行識 亦復如是사리자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수상행식 역부여시: 사리자여, 물질이 공과 다르지 않고 공이 물질과 다르지 않기에 물질이 곧 공이고 공이 곧 물질이니, 감각과 인식과 생각과 의식도 그러하니라.舍利子 是諸法空相 不生不滅 不垢不淨 不增不減사리자 시제법공상 불생불멸 불구부정 부증불감: 사리자여, 세상에 나..

로직스 (Human) 2024.12.05

인문 : 그림자 - 본영, 반영, 금환영

그림자, 影(그림자 영), Shadow, Silhouette, Reflection, Shade라고도 쓰이는데, 섀도 쪽이 더 잘 알려져 있다.빛이 있는 곳에 반드시 존재하는 것. 일직선으로 뻗는 빛을 차단하면 그 차단된 곳은 그늘이 지는데 이것을 그림자라고 칭한다.[ 그림자의 종류 ]그림자는 크게 세 가지 분류로 나누어진다.본영(Umbra)본그림자라고도 한다. 어떤 물체가 광원을 완전히 차단하는 경우 생기는 그림자.그림자에서 가장 어두운 부분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우리가 흔히 그림자라고 부르는 것은 이것이다. 일식이 일어날 때 태양의 본그림자에 있으면 개기일식이 보인다.반영(Penumbra)반그림자라고도 한다. 본영 옆에 생기는 흐릿한 그림자로 광원의 빛이 완전히 차단되지 않은 경우 생긴다.이 부분에서 ..

로직스 (Human) 2024.12.02

인문 : 인문학에 대한 분류적 이해

인문이란 인간과 인간의 근원 문제 및 인간의 사상과 문화를 말한다.인문학이란 인문에 관하여 탐구하는 학문으로서 언어학-문학-역사학-철학-종교학 등의 학문.직관-체험-표현-이해-해석 등 인문학적 방법론을 수용하는 제반 학문 및 이에 기반을 둔 융복합 학문 등 관련 학문분야를 말한다.인문학은 인간의 삶, 사고 또는 인간다움 등 인간의 근원 문제에 관해 탐구하는 학문이다.인문학은 인간과 인간의 근원 문제, 인간의 문화에 관심을 갖거나 인간의 가치와 인간만이 지닌,자기표현 능력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 연구하는 학문 분야로서 인간의 사상과 문화에 관해 탐구하는 학문이다.오늘날 인문학은 자연과학, 사회과학, 형식과학 및 응용과학 이외의 연구 분야로 더 자주 정의된다.현대 한국에서는 인문학의 분과를 흔히 문사철(문학..

로직스 (Human) 2024.12.01

인문 : 이별을 극복하는 10가지 방법

[ 이별로 인한 상처 극복에 도움이 되는 10가지 방법 ]1. 상처를 받았음을 인정하라2. 모든 과거의 기억을 날려 보내라3. 당신 자신을 용서하라 : 내가 지금 알고 있는 것을 그때도 알았더라면 다르게 행동했을 것이다. 자신이 몰랐던 것에 대해 스스로를 용서하자.4. 상대방을 용서하라 : 상대방도 인간임을 인정하자. 용서는 다른 사람을 위해서가 아니라 나 스스로를 위한 것이다.5. 당신 자신을 가장 소중히 여길 때이다6. 천천히, 시간적 여유를 가져라.7. 당신은 희생자가 아니다8. 고통과 혼란도 상처가 치유되는 과정임을 명심하라.9. 필요하다면 전문가에게 도움이나 정보를 요청하라10. 새로운 사람을 만나는 것을 서두르지 말라.이별의 상처를 극복하는 방법은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나와 상대를 용서하는 ..

로직스 (Human) 2024.11.30

인문 : 비이성적인 사고의 문제점

비이성적인 사고는 소통, 판단, 결정 등에 문제를 일으킵니다.1. 이분법적 사고를 한다2. 상대방에게 낙인을 찍는다3. 지나치게 일반화한다4. 긍정적인 상황을 걸러낸다5. 상대의 마음을 읽으려 한다6. 최악의 상황을 상상한다7. 모든 상황을 자신과 연관시킨다과학적 사고가 아닌 비이성적 사고는 나와 상대 모두를 위험에 빠트릴 수 있습니다.

로직스 (Human) 2024.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