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 23

저항 : 기레기의 양아치한 범죄 3 <가짜>

기레기가 급증하는 이유는 미디어 환경의 변화, 유튜브와 SNS의 성장, 그로 인한 수익성 약화가 그 이유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올드 미디어 특히 텔레비전은 뉴 미디어 유튜브로 급변하는 시기, 매국 보수 권력에 장악되면서 신뢰성이 떨어져 위기를 맞이했다.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조중동 등 매국 보수 신문은 종편으로 옷을 갈아입었지만, 마찬가지로 신뢰성이 제로인 미디어가 되었다. 마찬가지로 이들 올드 미디어의 노출을 담당하던 포털 사이트의 영향력 또한 덩달아 미미한 수준으로 떨어져 검색 기능만 남아 있다. 커뮤니티, 카페 등 특정 게시판은 권력의 바이럴과 역바이럴에 장악되면서, 여론 왜곡이 심각해져 본연의 기능을 상실한 지 오래다. 여론 조사 기관도 여론 조사의 결과를 인위적으로 조작하고 있는 것으로 알..

마인드 (Resist) 2024.10.14

저항 : 기레기의 파렴치한 범죄 1 <편향>

기레기는 기자와 쓰레기를 합친 합성어로 쓰레기자라고도 한다. 수준 낮은 기자들과 공익성에 부합하지 않는 가짜 뉴스, 근거 없는 모함을 일삼으면서 돈을 버는 기자들의 행태를 비꼬기 위해 쓰이기 시작했다. 정치적으로 편향된 기사, 선동과 날조, 검증되지 않은 자료를 사용한 기사 등 질이 낮거나 자극적인 기사를 쓰는 기자들에게 주로 사용한다. 이들이 쓴 기사는 찌라시가 되며, 이런 짓을 언론사 단위로 행하면 황색언론이 된다. 혹자는 이러한 기레기들의 행태에 대하여 악플 쓰고 돈 버는 놈들이라 비유했다. 4치 : 파렴치, 몰염치, 양아치, 후안무치. 카메라가 산불 화재 현장에서, 단풍나무를 비추면서, 물가 상승 이야기를 한다. 이게 화재 뉴스인가? 날씨 뉴스인가? 경제 뉴스인가? 특정 사건의 단면에서 정확한 정..

마인드 (Resist) 2024.10.12

저항 : 바이럴 마케팅 범죄

바이럴 마케팅(viral marketing)은 잠정적인 소비자들 사이에 소문이나 여론을 조장하여 상품에 대한 정보가 끊임없이 전파되도록 유도하는 마케팅 전략의 일종이다. 영단어 'viral'은 바이러스(virus)의 형용사형으로, '바이러스의', '바이러스에 의한'이라는 뜻도 있지만 '(마치 바이러스처럼) 전파되는', '전염되는'이라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go viral'은 '입소문을 타다'라는 뜻이며, 'viral success'는 '(주로 온라인에서) 입소문을 타고 크게 성공함'이라는 뜻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viral marketing'은 마치 바이러스가 전염되는 것처럼 홍보성 콘텐츠가 사람들 사이에 끊임없이, 능동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노리는 마케팅을 의미한다. 우선 마케팅 ..

마인드 (Resist) 2024.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