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괴 6

엔제이지 : 자본과 권력에 파괴되는 'K-컬처'

K-컬처의 대표 주자인 K-드라마, K-뮤비, K-팝은 최정점을 지나 급격한 하락세에 접어들었다고 평가된다.가장 큰 원인은 K-컬처를 이끈 주인공인 아티스트, 감독, 프로듀서, 댄서, 작가 등 창작자들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자본과 권력을 보호한 결과다.콘텐츠의 창작자들을 보호하지 않은 결과 K-컬처는 수준 낮은 드라마, 형편 없는 영화, 저질 후크 음악으로 비판받을 만큼 완성도가 급격히 떨어졌다.K-컬처의 성공이 자본과 권력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님에도, 그 성과를 창작자들이 가져가는 것이 아닌 자본과 권력이 가져감으로써, 미래 성장이 불가능한 수준에 이르렀다.나아가 K-컬처의 성공을 자본과 권력이 절대 독점하고 매국 정치와 황색 언론과도 결탁하면서, 비상식적이고 불합리하며 비인간적인 범죄 행위가 횡횡..

엔제이지 (NJZ) 2025.04.03

인문 : 인간관계 2, 정치적 행위와 개소리

정치적 올바름, 정치적 관계, 정치적 행위는 사회에 대한 인식과 태도이기도 하지만, 개인이 인생에서 맺는 관계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다.정치적 올바름은 각자의 다양성을 인정해서, 좁지 않고 넓은 관계를 맺는 것을 의미한다.부정적 의미를 부여할 이유가 전혀 없으며, 성적 다양성을 포함한 자기 결정권에 해당되는 모든 성향으로 MBTI와 같다고 이해해야 한다.정치적 관계는 인간관계를 가볍게 여기지 않고,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정치라는 말은 정치인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관계를 정의할 때 서로의 이해관계를 명확히 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야 한다.정치적 행위는 맺어진 관계를 서로 발전하는 관계로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가족, 친구, 동료, 지인, 연인 등 사람들과의 관계를 유..

로직스 (Human) 2025.02.04

인문 : 인간관계 1, 정치적 관계와 거짓말

스마트폰에 저장된 사람들의 전화번호가 늘었다가 줄었다가 하는 것은, 인생 전환점에서 헤어지고 만나는 관계의 변화 탓일 것이다.부모에서 초등학교,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중학교에서 고등학교, 고등학교에서 대학교, 대학교에서 사회생활 등 전환점에서 만나는 새로운 관계는 깊은 관계도, 옅은 관계도 있다.선택의 여지가 별로 없는 양적 관계를 지나 인생을 관통하는 질적 관계인 친구와 결별, 연인과 이별, 결혼과 이혼, 사랑과 죽음 등, 우리는 한 단계 발전하는 선택을 하며 인생을 살아간다.그러다 보면 반드시 듣게 되는 말은 인연을 맺은 사람들을 소중하게 여기며, 아끼고, 사랑하고, 배려하라는 말이다.여기에 덧붙여야 하는 말로는 정치적 관계를 유지할 것과, 개소리와 거짓말을 하지 말라야 한다는 것이다.정치적 올바름,..

로직스 (Human) 2025.02.03

인문 : 노벨경제학상, 우리나라 실패 35% 3

우리나라는 일제 식민지와 군사 독재 정권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에 대한 친일 매국 청산, 군사 독재 청산을 이뤄내지 못함에 따라, 매국 보수 활동이 민주주의라는 이름 하에 활동할 수 있도록 방치하고 있다. 사회주의, 공산주의, 종북세력 등에 대해 적대적 금지를 하고 있는 것과 같이 친일 매국 행위 또한 제재하지 않는다면, 지금의 세대와 지역 갈등은 완화되지 않을뿐더러 결국 우리나라의 실패를 초래할 것이다. 이는 친일 매국, 군사 독재의 부역을 통해 쌓은 엘리트들의 기득권 유지를 위한 저항으로, 이들은 민주주의를 부정하며 사회 발전과 국가 발전뿐 아니라 경제 발전 또한 원하지 않는다. 이러한 행위를 가장 앞장서서 하고 있는 자들은 매국 보수 정권 윤건희 정부에 들어서 명확해졌는데, 대학은 서울대 전공은 ..

로직스 (Human) 2024.11.06

인문 : 노벨경제학상, 우리나라 실패 35% 2

우리나라는 일제 식민지와 군사 독재 정권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으로부터 민주주의를 이뤄냈으나, 역사적으로 불안정성을 늘 내포할 수밖에 없어 미완이라는 수식어가 붙어야만 했다. 친일 매국 청산, 군사 독재 청산은 민주주의 제도가 정착되는 것을 바라지 않는, 친일 매국과 군사 독재에 부역한 범죄자와 동조자들로 인해, 민주 정부가 들어선 뒤에야 조금 전진하는 수준이었다. 하지만 매국 보수 정부 들어서면 우리나라의 민주주의 제도는 고스란히 후퇴하였고, 원래 상태로 돌아가고 말았다. 민주주의의 안정성 확보, 사정기관의 편향성 철폐, 사회적 약자의 권리 강화, 보편적 복지 제도의 확대는 민주 정부가 반드시 이뤄내야 할 과제가 되고 있다. 선거 제도의 정비, 국회의 입법 개혁, 행정의 민주 통치, 사법 기관 통제는..

로직스 (Human) 2024.11.05

인문 : 노벨경제학상, 우리나라 실패 35% 1

2024년 노벨문학상은 작가 한강에게, 2024년 노벨경제학상에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의 공동 저자 3인에게 수여되었다. 대런 아세모글루(57) 미 매사추 세츠공대(MIT) 경제학과 교수, 사이먼 존슨(61) MIT 슬론경영대학원 교수, 제임스 로빈슨(64) 시카고대 정치학과 교수. 스웨덴 왕립과학원은 지난 10월 14일, 제도가 어떻게 형성되고 번영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에 대한 공로를 인정해 이들에게 노벨경제학상을 수여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에 노벨경제학상을 수여한 공동 저서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는 포용적 제도, 창조적 파괴, 엘리트 견제가 주요 내용으로, 폭넓은 공감이 되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공동저서 ]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2012) 좁은 회랑 (201..

로직스 (Human) 2024.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