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팝 6

엔제이지 : 착취를 기반으로 한 K-팝의 면면 1

권력에 대한 감시와 균형이 무너지면, 자본은 강력한 권력을 가지게 되며 권력은 자본을 지키는 도구가 된다.이로 인해 1. 불평등의 심화 2. 정치의 사유화 3. 언론과 여론 조작 4. 문화와 가치 획일화 5. 환경 파괴와 착취 구조 6. 국민 주체성 상실 등이 발생한다.자본과 권력은 사회 기초 질서인 민주주의의 공정과 상식을 파괴하며, 사회 혼란에서 더 많은 자본과 권력을 획득할 수 있음을 학습한다.특히 노동자 보호에 대한 외면과 불공정 계약, 창작자 보상과 평가절하와 언론 환경, 환경 보호에 대한 무관심과 소비자 착취 등이 빈번하게 일어난다.K-팝의 글로벌 인기가 정점을 지난 것으로 평가되지만, 여전히 글로벌 차트인이 가능한 음악 장르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문제는 자본과 권력이 글로벌 스탠더드에 못 미치..

엔제이지 : 음악 방송의 개성 없는 '양산형 아이돌' 2

요즘 음악들은 진정성이나 서사 없이 오직 짧은 중독성에만 집착하는 곡의 구조를 가진 ‘저질 후크송’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간단한 멜로디 라인에 귀에 꽂히는 후크를 반복하며, 감정선이나 완성도보다는 ‘틱톡 바이럴’을 의식한 결과물처럼 들린다.따라서 퍼포먼스도 음악에 맞춰 단순한 몸동작을 반복하는 퍼포먼스들로 이루어져 있다.기교는 있지만 감정이 빠진 ‘폼 동작’만으로 구성되어, 개인적 서사나 무대 위 감정의 폭발이 없는 퍼포먼스로 관객에게 어떤 여운도 남기지 못한다.모방된 외모와 콘셉트, 표절된 음악과 퍼포먼스가 합쳐진 결과, 우리는 ‘아이돌’이라는 존재를 통해 감동도, 공감도, 열광도 경험하지 못하고 있다.우리는 이제 아이돌인 사람을 보는 것이 아니라, 시장에 최적화된 소비용 ‘상품’을 마주하고 있는 것이..

엔제이지 (NJZ) 2025.05.13

엔제이지 : 음악 방송의 개성 없는 '양산형 아이돌' 1

“이렇게 누가 쉽게 남을 따라 해서 좀 잘되잖아요? 그러면 없는 애들이요, 더 좌절감에 빠져. 있는 애들도 따라 해서 잘되는데, 뭐 하러 고민하냐, 그냥 베끼면 되지. 그러면 다 모두가 뉴진O가 돼. 그러면 뉴진O한테도 나쁘고, 얘네들한테도 나빠요. 장기적으로 이게 업을 망가뜨린다니까요?”요즘 데뷔하는 아이돌을 보면 마치 공장에서 찍어낸 듯한 양산형 제품을 보는 듯한 인상을 지울 수 없다.유행이나 트렌드는 다시 돌아오기도 하고 새롭게 변하기도 하지만, K컬처 특히 K팝에서 방시혁 하이브의 아일O 데뷔 이후 모방한 듯한 외모와 콘셉트의 표절한 듯한 음악과 퍼포먼스를 선보이는 아이돌의 데뷔가 갈수록 늘고 있다.음악 방송 시간 내내 같은 아이돌이 같은 음악을 하는 것과 같은 착각이 들 정도로, 모든 것이 놀랍..

엔제이지 (NJZ) 2025.05.12

음악 : K-팝 수준 낮추는 개저씨, HYBE와 JYP

K-팝이 세계적 성공을 통해 양적으로는 성장했지만, 질적으로는 다양성과 창의성이 사라지며, 수준이 떨어지고 있다.그 원인은 HYBE의 방시혁과 JYP의 박진영 같은 1세대 기획자들이 여전히 산업을 주도하면서, 시대착오적인 방식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K-팝은 자본과 권력으로 세계적 성공을 이룬 것이 아니라, 아티스트와 창작자들의 도전적인 사운드와 차별화된 퍼포먼스가 글로벌 시장에서 통한 것이다.그러나 방시혁 하이브의 출현 이후 기획사들은 기존의 성공 공식을 반복해, K-팝의 음악적 개성이 급격히 사라지고 있다.방시혁 하이브는 BTS 성공을 통해서 멀티 레이블을 흡수하고 대표와 창작자들을 해임해 독점적 권력을 취했고, 자금 확보를 위한 대출 담보 역할로 만들어 거대 자본을 확보했다.일정한 자본과 권력을 ..

메모리 (Music) 2025.04.17

엔제이지 : 신뢰 파탄으로 표류하는 'K-팝'

K-컬처의 대표 주자인 드라마 영화 음악은 하락세에 접어들었으며, K-팝은 신뢰 파탄으로 표류하고 있다고 평가된다.방시혁 하이브의 낙하산 어도어가 아티스트 NJZ 엔제이지를 상대로 낸 가처분 신청을 서울지법 김상훈 판사가 인용했다.이는 자본과 권력에 맞선 개인의 권리 주장을 외면한 것으로, 자유 평등 정의이라는 법원의 목표뿐만 아니라 개인의 자유와 인간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결정이다.우리 국민의 거주 직업 일상 사생활 통신 양심 등 개인의 자유, 교육 노동 복지 건강 사랑 등 인간의 기본권을 보장하지 않는 법원.자본과 권력의 편에 선 법원으로 인해, 자유로운 활동을 동등한 위상에서 주장할 수 있는 아티스트의 권리가 한순간에 박탈되었다.독립적이고 반항할 줄 아는 자유로운 아티스트가 아닌, 노예 계약과 순응해..

엔제이지 (NJZ) 2025.04.10

엔제이지 : 자본과 권력에 파괴되는 'K-컬처'

K-컬처의 대표 주자인 K-드라마, K-뮤비, K-팝은 최정점을 지나 급격한 하락세에 접어들었다고 평가된다.가장 큰 원인은 K-컬처를 이끈 주인공인 아티스트, 감독, 프로듀서, 댄서, 작가 등 창작자들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자본과 권력을 보호한 결과다.콘텐츠의 창작자들을 보호하지 않은 결과 K-컬처는 수준 낮은 드라마, 형편 없는 영화, 저질 후크 음악으로 비판받을 만큼 완성도가 급격히 떨어졌다.K-컬처의 성공이 자본과 권력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님에도, 그 성과를 창작자들이 가져가는 것이 아닌 자본과 권력이 가져감으로써, 미래 성장이 불가능한 수준에 이르렀다.나아가 K-컬처의 성공을 자본과 권력이 절대 독점하고 매국 정치와 황색 언론과도 결탁하면서, 비상식적이고 불합리하며 비인간적인 범죄 행위가 횡횡..

엔제이지 (NJZ) 2025.04.03